Kiro와 Cursor, 도대체 뭐가 다를까?
AI 개발 환경에 새로운 루키 Kiro가 등장했습니다.
직접 써보고 기존 시장에 자리 잡고 있던 Cursor와 비교했습니다.
지금부터, 그 실제 사용기를 선공개 합니다.
안녕하세요. 넥스트클라우드 SA 김유림입니다. 오늘은 조금 새로운 소식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불과 어제, 아마존의 CEO 링크드인 포스트로 Kiro가 공개되었습니다. 아래는 포스트의 요약입니다.
Kiro 소개 – 개발 방식을 바꾸는 새로운 AI 기반 IDE - 링크드인 포스트
- 스펙(Spec) 기반 개발 지원: 자연어 사양서와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을 바탕으로 명확한 개발 의도를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AI 에이전트가 적은 반복으로 더 나은 결과를 제공함
- 지능형 에이전트 훅 제공: 문서 생성, 테스트 코드 작성, 성능 최적화 등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함
- 개발자 친화적 인터페이스: 바이브, 스펙 등 선호하는 방식에 맞춰 개발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
즉, Kiro는 단순한 프로토타이핑을 넘어 실제 프로덕션 수준의 개발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돕는 구조화된 개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 프리뷰 버전으로 무료 공개되어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Kiro는 무엇인가? - Kiro
Kiro는 AI 기반의 차세대 IDE(통합 개발 환경)로, 기존의 “개발 환경 + AI 코드 생성”을 넘어서 실제 서비스 배포까지 다룰 수 있는 구조화된 개발 방식을 지원합니다. 이는 모든 중간 단계(설계, 테스트, 문서화, 리뷰)를 자동화하며, 개발자가 핵심 로직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핵심적인 기술만 빠르게 훑고 지나가 볼게요!
1. Spec-driven Development
개발자가 자연어로 작성한 기능 요구사항과 아키텍처 다이어그램을 기반으로 AI가 전체 개발을 지원합니다. 또한, 명확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설계하기 때문에 “설계 → 개발 → 검토”까지 일관된 흐름을 제공해줍니다. 예를 들면 “빈 페이지에 버튼 하나 생성해주고, 그 버튼을 누르면 버튼이 사라진 후 검은색 화면이 보이는 html 만들어줘.” 라고 구체적인 명령을 내렸을 때, 어떤 개발 과정이 필요하고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 정하여 알려줍니다. 그 후 실제 개발를 단계 별로 진행한 후 코드를 테스트 해보면서 실행 가능한지 검토까지 진행하는 식입니다.
2. Agent Hooks
파일 저장이나 커밋 등 이벤트 발생 시 자동으로 문서화, 테스트 코드 작성, 성능 최적화 등을 수행합니다. 이벤트 기반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놓칠 수 있는 파일 저장이나 api key, 특히 클라우드라면 access key 등의 중요한 보안 요소를 Kiro가 스캔하여 발견해주는 식으로 생산성과 보안을 높일 수 있습니다.
3. AI + 생산성 도구 통합
Kiro는 기존 VS Code 확장과 설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UI마저 VS Code와 유사하여 기존에 VS Code 유저라면 어색함 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AI가 생성한 코드, 테스트, 문서 등이 모두 접근한 프로젝트 내에서 변동되기 때문에, 권한이 있는 프로젝트에 한해 영향력을 펼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대화형 에이전트, MCP 등 최근에 핫한 기능이 모두 포함되어 있어 통합형으로 사용하기 유리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오늘의 본론을 전달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Kiro와 Cursor 무엇이 다를까?
Cursor는 AI 기술을 활용한 코드 편집기로, Visual Studio Code를 포크해서 만들어진 통합 개발 환경입니다. 코딩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도 복잡한 코딩 문법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어 명령어만으로도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두 서비스의 설명만 보면 유사한 기능을 제공하는 듯해 실제로 사용해보기 전에는 차이를 명확히 체감하기 어렵지 않은가요? 그래서 아래 영역에 제가 직접 사용해 본 실제 후기를 일부 선공개합니다! 핵심만 쏙쏙 뽑아 정리해드릴게요.
1. 작업 흐름의 차이
- Kiro
- 실시간 대화로 작업 진행을 나타냄
- 중간에 채팅을 입력하여 전송하면 AI가 작성하던 채팅이 멈추고 실제 대화하듯 입력된 채팅에 대한 내용으로 대화가 진행됨
- 모든 과정을 Run / Reject 2개로 결정할 수 있어, 중간 흐름이 마음에 안들면 중간에 작업 중단이 가능함
- Kiro가 접근할 수 있는 터미널이 존재하기 때문에 실행과 테스트가 용이함
- Cursor
- AI가 일괄 작업 후 결과를 보여주는 형식임
- 중간 개입이나 Reject이 불가하며, AI가 생성 중에 채팅을 입력하면 사용자의 대화가 큐로 쌓여 AI 대화 생성 완료 후 대화가 반영되기 때문에 완전 실시간 대화가 이루어지기 어려움
- Github과 같이 Red / Green 색상으로 코드 변경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서 최종 결과로 만든 코드 중 일부만 Accept 하는 것이 가능함
개인적으로 chat 에 가까운 건 Kiro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대화에 반응하여 자신의 대화를 끊고 새 주제로 이야기해주는 것이 굉장히 편하게 느껴졌습니다. 무엇보다 Kiro의 AI는 대화에서 정보를 얻어 어떤 흐름으로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지 순차적인 AI 사고 흐름을 단계 별로 따라가며 출력해주다 보니 AI가 뭘 하고 있는지, 제가 시킨 일을 잘 하고 있는지 이해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던 게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Cursor는 어떤 작업을 진행했다는 정보를 결과 보고서 형식으로 전해주다 보니 한 번 더 이해하는 어려움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다만, 단일 파일 작업에서는 부분적으로 코드를 수정할 수 있었던 Cursor가 더 좋았던 것 같습니다.
2. Spec 플랜 사용성 (Kiro 단독)
- Kiro
- 장점
- 명세화된 작업 기록에 유용함
- Spec에 작성된 단계에 따라 AI에게 생성 작업을 맡길 수 있어서 복잡한 작업 분할에 적합함
- 단계 별로 필요한 작업만 AI에게 시킬 수 있음
- 단점
- 이미 완성된 Spec에 대해서는 중간 수정이 불편하기 때문에 초안이 좋지 않으면 재작업이 번거로움
- 대화형 바이브코딩이 더 익숙한 경우 Spec 사용이 어려울 수 있음
- 장점
- Cursor
- Spec의 명세화된 작업 보고서를 만들 수 있음
- 다만, 중간 단계 별로 AI가 개발하는 기능이 따로 없음
Spec 기능은 보통 명세서를 만들어야 하는 프로젝트 최종 단계 혹은 잘 짜여진 프로젝트 초기에 많이 이용하실 것 같습니다. Spec 같은 경우는 일부 내용만 수정하는 것이 어려워서 원하는 것이 명확할 때 이용하는 게 좋은 효과를 보입니다. Cursor는 해당 내용이 없어서 보고서만 만들어오는 걸 보니 이건 Kiro만의 독특한 차별점 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3. 기타 차이점
- 테스트
- Kiro는 자신의 코드나 과정을 검증해보는 테스트 작업을 진행합니다.
- 3가지의 일이 하나의 파일에 있다면, 각각의 일이 잘 실행되는지 test 파일을 생성하여 작업을 확인해보고 최종 실행 파일을 실행하여 결과를 확인합니다.
- Cursor에서는 실행해보라고 해도 직접 진행해보라고 유도하거나 실행해볼까요? 하면서 바로 실행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UI
- Kiro는 VS Code의 UI 설정을 그대로 가져와서 설정합니다.
- Cursor는 3가지 UI 중에 선택할 수 있습니다.
기타 차이점과 관련해서는 사용자 별로 다른 세팅을 이용하신다면 조금 다르게 보일 수도 있으나 제게는 순정 그 자체에서의 세팅 차이이기 때문에 Kiro의 UI가 더 보기 편했습니다. 이 부분은 개인차가 심하겠네요!
자, 오늘은 새로운 AI IDE인 Kiro에 대한 소개 기능과 Kiro와 Cursor의 차이점으로 3가지 정도 확인해보았는데요. 아쉽지만 오늘의 소식은 여기까지입니다. 간단하게 비교해본 내용이 여러분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더 자세하고 진득한 리뷰는 2탄으로 돌아오겠습니다!
혹시 2탄보다도 먼저 Kiro가 궁금하신 분들께서는 아래 링크로 접속하시어 사용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Kiro에게 가는 길: https://kiro.dev/
그럼 저희 2탄에서 뵐게요!!
'AWS > 기능 소개 및 에러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Windows 개발 환경에서 Serverless Framework 오류 (Runtime.ImportModuleError) (4) | 2024.03.29 |
---|---|
EC2 G4DNlarge 인스턴스에 Tensorflow 및 Pytorch설치하기. (2) | 2023.10.12 |
AWS Ec2 인스턴스에 탄력적 IP 설정하기(Ec2 IP고정하기) (0) | 2023.07.28 |
AWS RDS를 Workbench로 실행시키기( + 연결 에러?? Faild to connect to mysql ) (2) | 2023.07.12 |
AWS EC2 SSH X-shell로 연결하기 (1) | 2023.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