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SAA 준비

AWS SAA 합격으로 가는 길 #97

Pacloud 2025. 7. 4. 10:10
반응형

안녕하세요! 넥스트클라우드의 SA 김도겸입니다. 꾸준히 야금야금 AWS SAA를 정복해봅시다!

 

문제는  가지 단계를 거치며 풀어 나갈 거예요.

1. 문제의 요구사항 분석하기

2. 관련 AWS 서비스 생각하기

3. 선택지 분석하기

 

바로 문제 풀이 해볼까요?


문제1

주로 온프레미스에서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실행하는 회사가 AWS로 마이그레이션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회사는 온프레미스에서 iSCSI(Internet Small Computer Systems Interface) 스토리지를 확장해야 할 필요성을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회사는 최근에 액세스한 데이터만 로컬에 저장하기를 원합니다.

회사는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어떤 AWS 솔루션을 사용해야 합니까?

 

선택지

A. Amazon S3 파일 게이트웨이

B. AWS Storage Gateway 테이프 게이트웨이

C. AWS Storage Gateway 볼륨 게이트웨이 저장 볼륨

D. AWS Storage Gateway 볼륨 게이트웨이 캐시 볼륨


풀이

문제에서 제시한 온프레미스에서 AWS로 마이그레이션하면서 iSCSI 스토리지 확장을 최소화하고, 최근에 액세스한 데이터만 로컬에 저장하려는 요구를 충족하려면 AWS Storage Gateway 볼륨 게이트웨이 캐시 볼륨을 사용해야 합니다.

 

정답 : D

 

▼ 자세한 문제 풀이를 원하신 분은 아래 더보기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더보기

1.  문제의 요구사항 분석하기

  • 온프레미스에서 AWS로 마이그레이션
  • iSCSI 스토리지 확장 최소화
  • 최근 액세스한 데이터만 로컬에 저장

2. 관련 AWS 서비스 생각하기

AWS Storage Gateway는 온프레미스 애플리케이션과 AWS 스토리지 서비스 간의 통합을 지원하는 서비스입니다. 캐시 볼륨, 저장 볼륨, 테이프 게이트웨이 등 다양한 유형을 제공합니다.

 

캐시 볼륨은 최근에 액세스한 데이터를 로컬에 캐싱하고, 나머지 데이터는 Amazon S3에 저장합니다. 이를 통해 온프레미스 스토리지 확장 필요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로컬 캐시는 최대 32TB까지 가능하며, 데이터는 S3에 지속적으로 저장됩니다.

 

저장 볼륨은 전체 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하며, 이를 Amazon EBS 스냅샷으로 백업합니다. 로컬 볼륨 크기는 최대 16TB까지 가능합니다.

 

테이프 게이트웨이는 가상 테이프 라이브러리를 제공하여 백업 데이터를 Amazon S3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문제와 관련된 내용 - NFS와 iSCSI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https://aws.amazon.com/ko/compare/the-difference-between-nfs-and-iscsi/

3. 선택지 분석하기

A. Amazon S3 파일 게이트웨이

→ 문제에서 제시한 파일 게이트웨이는 iSCSI를 스토리지를 지원하지 않으므로 요구사항과 맞지 않습니다.

 

B. AWS Storage Gateway 테이프 게이트웨이

테이프 게이트웨이는 데이터 백업 및 아카이빙을 위한 것으로 요구사항과 맞지 않습니다.

 

C. AWS Storage Gateway 볼륨 게이트웨이 저장 볼륨

저장 볼륨은 전체 데이터를 로컬에 저장하므로 요구사항과 맞지 않습니다.

 

D. AWS Storage Gateway 볼륨 게이트웨이 캐시 볼륨

캐시 볼륨은 최근에 액세스한 데이터를 로컬에 캐싱하고, 나머지는 S3에 저장하므로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합니다.

 

이어서 다음 문제입니다.


문제2

회사는 웨어러블 장치를 사용하는 많은 참가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회사는 데이터를 Amazon DynamoDB 테이블에 저장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합니다. 데이터 워크로드는 일정하고 예측 가능합니다. 회사는 DynamoDB에 대한 예상 예산 이하를 유지하려고 합니다.

이러한 요구 사항을 가장 비용 효율적으로 충족하는 솔루션은 무엇입니까?

 

선택지

A. 프로비저닝 모드와 DynamoDB Standard-Infrequent Access(DynamoDB Standard-IA)를 사용합니다. 예상 워크로드에 대한 용량을 예약합니다.

B. 프로비저닝 모드를 사용합니다. RCU(읽기 용량 단위) 및 WCU(쓰기 용량 단위)를 지정합니다.

C. 주문형 모드를 사용합니다. 읽기 용량 단위(RCU) 및 쓰기 용량 단위(WCU)를 워크로드의 변경 사항을 수용할 수 있을 만큼 높게 설정합니다.

D. 주문형 모드를 사용합니다. 예약 용량이 있는 RCU(읽기 용량 단위) 및 WCU(쓰기 용량 단위)를 지정합니다.


풀이

이 문제에서 회사는 웨어러블 장치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DynamoDB에 저장하고, 데이터 워크로드가 일정하므로 DynamoDB 비용을 최소화하는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정답 : B

 

▼ 자세한 문제 풀이를 원하신 분은 아래 더보기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더보기

1.  문제의 요구사항 분석하기

  • 웨어러블 장치 데이터를 DynamoDB에 저장
  • 데이터 워크로드가 일정하고 예측 가능
  • DynamoDB 비용 최소화

2. 관련 AWS 서비스 생각하기

Amazon DynamoDB는 프로비저닝 모드와 온디맨드 모드를 제공합니다.

프로비저닝 모드에서는 필요한 읽기/쓰기 용량을 미리 프로비저닝해야 합니다. 이 모드는 일정한 워크로드에 적합하며, 프로비저닝된 용량에 따라 요금이 정해집니다. 워크로드가 예측 가능할수록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온디맨드 모드에서는 별도의 프로비저닝 없이 필요한 만큼 읽기/쓰기를 수행할 수 있지만, 사용량에 따른 요금 부과로 비용이 불규칙해질 수 있습니다. 이 모드는 워크로드가 예측 불가능하거나 일시적인 경우에 유용합니다.

 

또한, DynamoDB는 데이터를 자동으로 여러 리전에 복제할 수 있는 글로벌 테이블 기능을 제공합니다.

3. 선택지 분석하기

A. 프로비저닝 모드와 DynamoDB Standard-IA를 사용, 예상 워크로드에 대한 용량 예약

Standard-IA는 액세스 패턴에 따라 자동으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스토리지 최적화 기능으로, DynamoDB 비용 최적화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B. 프로비저닝 모드를 사용하고, RCU/WCU 지정

프로비저닝 모드에서 필요한 용량만큼 프로비저닝하면 예측 가능한 워크로드에 대해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C. 온디맨드 모드, RCU/WCU를 높게 설정

온디맨드 모드에서는 사용량에 따라 요금이 부과되므로 일정한 워크로드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D. 온디맨드 모드, 예약 용량 RCU/WCU 지정

예약 용량은 프로비저닝 모드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의 마지막 문제입니다.


문제3

온라인 학습 회사가 AWS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에 학생 기록을 유지합니다. 회사는 여러 AWS 리전에서 데이터를 항상 온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최소한의 운영 오버헤드로 이러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는 솔루션은 무엇입니까?

 

선택지

A.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Amazon EC2 인스턴스의 PostgreSQL 클러스터로 마이그레이션합니다.

B.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다중 AZ 기능이 켜진 PostgreSQL DB 인스턴스용 Amazon RDS로 마이그레이션합니다.

C.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Amazon RDS for PostgreSQL DB 인스턴스로 마이그레이션합니다. 다른 리전에서 읽기 전용 복제본을 생성합니다.

D.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Amazon RDS for PostgreSQL DB 인스턴스로 마이그레이션합니다. 다른 리전에 복사할 DB 스냅샷을 설정합니다.


풀이

이 문제에서 회사는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에 학생 기록을 저장하고, 여러 리전에서 데이터를 항상 온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는 최소 운영 오버헤드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정답 : C

 

▼ 자세한 문제 풀이를 원하신 분은 아래 더보기를 통해 확인해 주세요.

더보기

1.  문제의 요구사항 분석하기

  •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
  • 여러 AWS 리전에서 데이터 항상 온라인 사용 가능
  • 최소 운영 오버헤드

2. 관련 AWS 서비스 생각하기

Amazon RDS(Relational Database Service)는 AWS에서 제공하는 관리형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입니다. PostgreSQL, MySQL, MariaDB, Oracle, SQL Server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엔진을 지원합니다.

RDS는 다중 AZ(Availability Zone) 배포를 통해 고가용성을 제공합니다. 다중 AZ 배포에서는 동일한 데이터가 다른 가용 영역에 있는 대기 인스턴스에 동기식으로 복제되어 장애 발생 시 자동 failover가 가능합니다.

또한,

RDS는 읽기 전용 복제본을 생성하여 읽기 확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읽기 전용 복제본은 동일한 리전 내에서 생성할 수도 있고, 다른 리전에서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여러 리전에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RDS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로, 백업, 패치 관리, 모니터링 등의 작업을 자동화하여 운영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선택지 분석하기

A. PostgreSQL을 EC2의 PostgreSQL 클러스터로 마이그레이션

수동 클러스터 구성 및 관리가 필요해 운영 오버헤드가 큽니다.

 

B. PostgreSQL을 다중 AZ 기능이 켜진 RDS PostgreSQL 인스턴스로 마이그레이션

다중 AZ는 동일 리전 내에서만 가용성을 보장하므로 요구사항을 충족하지 못합니다.

 

C. PostgreSQL을 RDS PostgreSQL 인스턴스로 마이그레이션, 다른 리전에 읽기 전용 복제본 생성

읽기 전용 복제본을 통해 여러 리전에서 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완전 관리형 서비스로 운영 오버헤드가 최소화됩니다.

 

D. PostgreSQL을 RDS PostgreSQL 인스턴스로 마이그레이션, 다른 리전에 DB 스냅샷 복사

스냅샷은 일회성 복사본으로, 지속적인 데이터 사용을 위해서는 부적절합니다.

 

여기까지 읽어주신 여러분께 응원을 보내드립니다!!